한국형 노인우울검사(Korean Form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 KGDS)

노인의 우울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Yesavage(1983)와 그의 동료들이 개발한 ‘노인우울척도’(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를 정인과․곽동일․조숙행․이현수 등(1997)이 국내에 맞게 표준화 한 ‘한국형 노인우울검사’ (Korean Form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KGDS)가 있다.  전체문항은 총 30개로 구성요인으로는 정서적 불편감, 비관적 사고 및 불행감, 신체적 약화 및 기력쇠퇴, 인지기능 저하,사회적 관심 및 활동저하의 총 5개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고 전체판별률은 75%이고 최적 절단점수는 14점이 제안 되었으며 고전적인 백분위 점수 분포를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14∼18점 사이는 경계선수준 및 경도의 우울증, 19∼21점 사이는 중등도의 우울증, 22점 이상은 심도의 우울증으로 분류할 수 있다.

역 채점 문항은 6, 7, 8, 9, 10, 11, 12, 13, 15, 16, 20, 21, 22, 30 문항 이며, 당 점수는 0점 또는 1점을 배점할 수 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우울의 정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 한다. KGDS의 내적일치도(Cronbach’s α)는 .88 이고 반분신뢰도는 .79로 나타났다.  최희진(2015) 에서 전체적 신뢰도 계수(Cronbach’s α)는 .82로 나타났다.

한국형 노인우울검사(KGDS)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