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Home
  2. Docs
  3. 뉴미디어 제작
  4. 사진촬영과 편집

사진촬영과 편집

사진과 영상촬영에 정답은 없다. 일반적인 기준의 안정적인 촬영과 구도입니다.

  1. 삼분할, 삼등분할 (활금분할)

모두가 잘 알고 있겠지만,  모든 사진을 가로와 세로로 균등하게 2개의 선을 그어서 나누면, 9개로 균등하고 분할 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이 좋아하고 익숙한 주요한 사진들을 보면 중요한 요소들이 사진의 황금분할 위치, 2개의 균등한 가로, 세로 선이 만나는 곳에 있다는 것을 발견합니다.

이렇게 삼분할법에 따라 이미지를 배치하면 사진을 더 균형감 있게 만들고, 관심 피사체를 돋보이게 만들어 줍니다. 여러분들의 핸드폰에는 그런 삼분할선을 카메라 메뉴에 넣어서 사진을 안정적이게 촬영할 수 있도록 기본세팅되어 있기도 합니다.

 

  1. 균형을 잡아라

위에 소개한 것처럼 삼등분할에 따라 피사체(대상물체, 사람)을 위치하게 되면 자칫 나머지 공간이 너무 공허하게 보일 수 있습니다. 그때 사진 구성하는 균형에 대해서 조금 공부를 하신다면 도움이 될 것 같아요. 사진의 균형에 대해서는 나중에 다른 자료로 소개할게요. 우선은 기본 팁에 집중해서 다시 요약해서 정리하면, 삼등분할에 때문에 여백이 생기는 공간을 다른 서브(부 피사체, 보조 대상)을 채워 넣으면서 안정감을 살릴 수 있습니다.

  1. 시선을 고려해라

우리가 사진을 보게 되면 자연스럽게 사진의 주요한 라인을 따라가게 됩니다. 이런 점을 고려하여 우리가 사진을 찍을 때 촬영할 대상의 시선을 구도에 어떻게 배치하느냐에 따라 우리는 그 사진을 보면서 주요한 방향으로 이끌리게 됩니다. 선이 그려진 사진의 모습을 자연스럽게 우리는 훑어보게 됩니다.

다양한 모양의 라인이 존재합니다. 직선, 대각선, 곡선, 지그재그, 방사형, 이런 다양한 라인을 고려하여 사진의 구도를 잡으면 흥미로운 사진을 촬영할 수 있습니다.

  1. 조화(대칭)과 패턴(일정한 형태)

우리는 자연에서 또는 인공적인 형식으로 만든 다양한 대칭과 패턴 속에 둘러쌓여 있습니다. 우연하게 발견한 그런 대칭과 패턴을 발견할 때 우리는 흥미를 느끼고 관심을 가집니다. 그런 대칭과 패턴을 우리는 역으로도 활용하기도 합니다. 긴장과 집중을 주기 위해서 그런 규칙성을 일부러 깨트리면서 사람들의 이목을 집중시킵니다.

 

  1. 관점 보는 위치

사진을 촬영하기에 앞서 어디에서 사진을 촬영할지를 곰곰히 생각해보세요. 우리가 촬영하는 위치가 사진의 구도에 많은 영향을 미칩니다. 사진이 전달하는 메시지에도 영향을 주게 됩니다. 눈높이에서만 사진을 촬영하지 말고, 조금 높은 위치에서, 아니면 낮은 위치에서, 옆에서, 뒤에서, 아주 멀리에서, 또는 아주 가까이에서 다양한 관점을 고려해보세요.

 

  1. 배경을 생각해라

사진을 촬영하고 나서 진짜 만족하게 흐뭇해 했던 사진이 과연 몇개나 있으신가요? 그렇게 많진 않을 겁니다. 그 큰 이유 중 하나는 배경에 걸린 잡다한 모습들 때문인 경우가 있습니다. 우리의 눈은 우리가 집중하고자 하는 사물을 확실하게 구분시켜서 다른 배경을 신경쓰지 않도록 할 수 있지만, 카메라는 그렇게 영리하지 못해서 눈으로는 감이 오는 이미지가 사진을 찍으면 배경과 주피사체가 동일하게  찍혀서 평범한 사진으로 보일 경우가 많습니다.

사진을 찍을 때 조금 더 주변환경을 고려해서 사진의 구도를 신경써 보세요. 과감한 크로즈업으로 주피사체의 잡다한 배경을 날려버릴 수 있습니다. 또는 구도를 변경시켜서 사진에 걸리는 배경을 안보이게 할 수도 있지요. 포커스로 흐리게 만들 수도 물론 있겠지만 긴박하고 카메라 렌즈가 적절하지 않을 때에는 어떻게 해야할까요?

이 팁에서 강조하는 것은 주피사체의 배경 뒤로 평범하고 단순한 이미지를 선택하는 것입니다. 그렇게 촬영하면 아래 사진처럼 원하는 주제에 집중시킬 수 있습니다.

 

  1. 깊이를 원근감을 느끼게

사진은 2차원적인 매체입니다. 우리는 촬영할 때 현장의 원근감, 깊이감을 잘 전달할 수 있도록 사진을 구성해야 합니다. 전면, 중간, 후면에 각각 물체를 배치하여 사진의 깊이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또는 하나의 물체를 다른 물체로 가리면서 겹치게 배치해서 사진을 찍는 것입니다. 우리의 눈은 자연스럽게 그런 레이어를 인식하고, 의식적으로 물체를 불리시키면서 깊이감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1. 프레이밍

우리 주변에는 나무, 아치, 구멍 등 자연스럽게 프레임을 만들 수 있는 것들이 많이 있습니다. 사진을 촬영할 때 피사체 주변에 그런 프레임을 만들어 내면서 피사체를 다른 세계와 분리시켜 집중시킬 수 있습니다. 자연스러운 이미지 속의 프레임 배치를 통해 주피사체를 더욱 돋보이게 만들어 내는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1. 크로핑, 자르기

종종 주 대상물이 주변 사물들보다 너무 작아서 사진 속에서 집중을 이끌지 못하게 될 수 있습니다. 그때에는 방해가 되는 배경들을 과감하게 잘라내면서 시선을 분산시키지 않고 주제를 돋보이게 만들 수 있습니다.

 

  1. 실험하고 도전하기

디지털 카메라 시대가 된 지금 우리는 필름과 인화비용을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용량이 허용하는 만큼 다양한 사진을 촬영하고 원하지 않는 결과물을 추가비용 없이 삭제하면 됩니다. 이런 사실을 잘 활용해서 다양한 실험과 도전을 해보세요. 아이디어가 떠오르면 그대로 표현해보시고, 그 결과를 확인하세요.

사진을 위한 구도는 과학과는 거리가 멀어요. 위에 언급했던 자료들은 조금 고려할 하나의 제안일뿐입니다. 현장에서 위의 조언이 먹히질 않는다면 모두 무시하시고, 자신만의 방법을 만들어 내세요. 그리고 계속 촬영하고 확인하고 고민하면서 더 나은 사진을 발견하세요. 하지만 대부분의 사진 촬영자들이 위에서 언급한 방법을 효과적이라고 받아들이고 적용하고 있다는 사실도 생각하시고요~

 

원문: https://www.photographymad.com/pages/view/10-top-photography-composition-rules

 

스마트폰 사진편집 앱

라인카메라

http://camera.line.me/ko

Tags , ,
Was this article helpful to you? Yes No

How can we help?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