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S의 개념 이해하기
중앙일보 2019년 sns사용 통계관련 기사
SNS(Social Network Service)는 사용자들의 자유로운 의사소통과 지식공유, 인맥 의 확대 등을 강화해주는 도구로써 정보화 사회에서 소비자들의 일상에 매우 빠른 속도로 침투하고 있다. SNS의 의미는 다양하게 정의되고 있는데 Kaplan와 Haenlein(2010)은
SNS를 창출 콘텐츠의 생성과 교환 그룹으로 정의하였으며, 정보 통신 정책 연구원(2015)에서는 관심이나 취미활동을 공유하는 사람들 사이의 관계 망이나 상호적 관계를 구축해 주고 보여주는 온라인 서비스 또는 플랫폼이라고 설 명하였다. 방송통신위원회(2011)에 따르면 SNS는 인터넷상에서 친구, 동료 등 지인 과의 인간관계를 강화하거나 새로운 인맥을 형성함으로써 폭넓은 인적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는 서비스로 카페, 클럽, 블로그, 미니홈피, 마이크로 블로그, 프로필 기반서비스(예: 페이스북) 등이 포함된다고 하였다.
관계기반 SNS 페이스북
관계기반 SNS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관계기반 SNS는 자신의 정보를 업로드 하여 이미 맺어진 친구와 연결하거나 검색을 통해 오프라인 친구를 페이스북 친구로 만들 수 있으며, 연결된 친구들이 온라인 혹은 오프라인 인맥의 관계망을 확장해 나가는 구조이다. 관계기반 SNS는 지인 위주의 커뮤니케이션 활동으로 이미지보다 텍스트 위주의 게시물이 많은 특징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관계기반 SNS 네트워크가 지인으로 구성되어 상대적으로 신상 정보에 대한 신뢰성이 높고 능동적 정보교환이 가능하다.
반면 단점은 이미지보다 텍스트 위주의 소통이 주를 이루기 때문에 원하는 정보를 쉽게 선택하는데 어려움 이 있다. 또한 콘텐츠를 작성하는데 드는 시간에 대한 부담감과 텍스트 입력의 불편함이 있으며, 광범위한 이용자를 전달대상으로 설정하여 원하는 정보를 도달시키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관심사기반 SNS 인스타그램 핀터레스트
관심사 기반 SNS의 장점으로는 첫째, 기존의 텍스트 중심의 커뮤니케이션 환경에서 시각적으로 감성적 정보를 전달할 수 있어 효과적인 정보 전달을 할 수 있다.
둘째, 이미지 중심의 SNS이다 보니 기존의 텍스트나 관계 및 프로필 중심으로 관계를 맺는 SNS보다 한두 번의 터치만으로 쉽게 정보를 공유할 수 있어 소비자의 정보 탐색이 용이 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관심사 기반 SNS는 지인 관계 네트워크를 이용하지 않고 단순 공통 관심사를 가진 사람들과의 소통이 나타나 상대방의 정확한 신상정보를 알 수 없기 때문에 정보원의 신뢰성이 상대적으로 더 낮다.